Sol-T Series
화학규제플랫폼
바로가기
바로가기

Sol-T.EX
시험자료 전문관리 서비스

Sol-T.JS
공동등록 협의체 서비스

Sol-T.USE
용도조사·CSR 서비스

Sol-T.SDS
MSDS 자동생성 서비스

Sol-T.CS
상시자문 서비스
NOTICE
고객지원
14
2023.04
뉴스레터
「2023년 취약시설 특별 안전 현장 맞춤형 교육」 사업장 모집 안내(모집일정: 2023년 4월 5일(수) ~ 모집완료시 마감)
안녕하세요. 안전성평가솔루션㈜입니다.화학물질관리협회에서 취약시설 특별 안전 현장 맞춤형 교육 사업장을 모집하고 있습니다.지원대상은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중소·중견기업(157개 社)이며, 157개 社 초과 시 우선순위에 따라 선정됩니다. (※ 우선순위 선정은 첨부파일의 5.기타사항 참조)「2023년 취약시설 특별 안전 맞춤형 교육」에 지원하고자 하는 업체 담당자분들께서는 하기 공고를 확인하시어 참여 부탁드리며,관련하여 진행을 희망하시거나 관련한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하기 메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우리 협회는 「2023년 취약시설 특별 안전 현장 맞춤형 교육」사업의 주관기관으로, 「2023년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특별 안전교육」을 다음과 같이 무료 지원하오니,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의 많은 관심 및 참여 바랍니다.
□ 모집 배경ㅇ유해화학물질 취급·관리 및 화학물질관리법 이행에 어려움을 겪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직접 찾아가는 맞춤형 교육 지원을 통해 화학사고 예방 효과 도모 - 이에 화학물질관리협회는 「2023년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특별 안전교육」 실시□ 세부사업명ㅇ2023년 취약시설 특별 안전 현장 맞춤형 교육ㅇ2023년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특별 안전 현장 맞춤형 교육 □ 지원대상 및 모집일정 ㅇ(지원대상) -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중소·중견기업(157개사)※ 우선순위 선정은 첨부파일의 5. 기타사항 참조 ㅇ (모집일정) - 신청기간: '23.4.5(수) ~ 지원대상 모집 완료시 마감 - 지원기간: '23.4.24(월) ~ '23.10.31(화)※ 상황에 따라 지원기간 변동 가(변동 시 신청사업장 대상 별도 안내 예정) □ 신청방법 : 아래의 방법 중 택1 제출 - E-mail 접수(techedu@kcma.or.kr) - Fax 접수(02-587-2204) - 우편 접수(서울특별시 양천구 곰달래로 34, KCMA빌딩 3층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기술교육팀, 우 07925)ㅇ (공고문)모집공고 참조□ 문의처
담당기관
연락처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기술교육팀)
02-3019-6622
※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 참조를 부탁드립니다.
생활화학제품 유통감시 강화로 국민안전확보2022년 하반기 안전 • 표시 기준 위반한 693개 생활화학제품 퇴출출처 : 환경부 보도자료(2023.03.30)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최흥진)은 지난해 하반기(2022년 7월~12월) 동안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약칭 화학제품안전법)'에 따라 2만 1,121개 제품을 조사하고, 관련 법률을 위반한 693개 생활화학제품에 대해 제조 및 수입 금지 등 유통을 차단했다고 밝혔다.이들 위반제품은 △시장 유통 전에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신고·승인 등 절차를 위반한 626개 제품, △신고 당시에는 안전기준에 적합했으나 실제 유통된 제품에서 유해물질 함유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된 62개 제품, △신고번호 등의 표시기준을 위반한 5개 제품 등이다. ※ 신고·승인 위반 : 7년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원 이하의 벌금 ※ 안전기준 위반 : 7년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원 이하의 벌금 ※ 표시기준 위반 : 5년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적발된 626개 제품을 품목별로 보면 방향제(228개), 초(155개)가 가장 많았다.특히, 이번에 적발된 방향제 중에는 '가습기용 생활화학제품'으로 불법 판매된 사례(6개 제품)가 있어서 방향제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가습기용 생활화학제품'은 시장 유통 전에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안전성과 효능·효과를 사전 승인받아야 하나, 현재까지 적법하게 승인받은 제품은 전혀 없다.따라서, 방향제로 신고된 제품이라도 '가습기에 사용 가능한 아로마오일', '가습기에 사용 가능하다'는 등으로 표시·광고한 제품은 모두 불법이므로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유해물질 함유기준을 초과해 적발된 제품은 모두 62개로 미용접착제(24개), 문신용염료(24개), 인쇄용 잉크·토너(7개), 제거제(4개), 특수목적코팅제(2개), 광택코팅제(1개) 등이다.이 중 미용접착제 24개 제품에서는 함유금지물질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가 최대 158mg/kg, 문신용염료 13개 제품에서는 함유금지물질인 니켈이 최대 43mg/kg이 검출됐다.문신용염료(1개), 인쇄용 잉크·토너(7개), 제거제(2개) 등 10개 제품은 납이 최대 9.2mg/kg 검출되어 안전기준(1mg/kg)을 초과했다.환경부는 이들 제품이 시중에 유통되지 않도록 행정처분과 함께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운영하는 '위해상품 판매차단시스템'에 등록하고 (사)한국온라인쇼핑협회에도 판매·유통 금지를 요청하고 시행 중이다. ※ 유통차단 흐름도 : 행정처분 공표(환경부) → 위해상품 판매차단시스템 등록(대한상공회의소, 실시간) → 온·오프라인 유통차단(유통업체)아울러, 환경부는 회수명령이나 판매금지 조치 등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재판매·유통되지 않도록 '재유통 모니터링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지속적으로 감시할 예정이다.환경부는 위반사례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확인·신고 등 절차를 이행하지 않고 유통하는 불법제품을 근절하기 위해 선제적인 시장감시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온라인 구매증가 등 소비형태 변화에 발맞춰 온라인 상시 감시 제품 수를 지난해 1만개에서 올해 1만 5천개로 늘리는 등 불법제품 유통을 선제적으로 차단할 방침이다.이와 함께, 온라인유통사와 협업하여 신고·승인번호가 없는 생활화학제품은 온라인 판매창구(플랫폼)에 등록을 원천적으로 할 수 없도록 유통체계를 점검하고 개선을 유도할 예정이다.반복적으로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제품에 대한 감시와 관리도 강화할 예정이다.문신용염료, 미용접착제 등 안전기준을 지속적으로 위반하는 품목의 제조·수입자를 대상으로 주기적인 원료품질검사 요청과 함께 해당 품목에 대한 안전성조사 비중을 확대하는 등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안전기준 위반 시 엄격하게 조치할 예정이다.권병철 환경부 화학제품관리과장은 "생활화학제품을 구매할 때는 신고·승인된 적법한 제품인지를 먼저 확인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면서, "앞으로도 상시 감시와 더불어 관계기관 간 협업 강화 등을 통해 불법 생활화학제품 근절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출처 : 환경부 보도자료(2023.03.30)
본 뉴스레터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주시기 바랍니다.당사의 뉴스레터를 이용해 주시어 감사드립니다.
※ 당사는 제품 개발단계부터 제품의 등록까지 안전성에 관한 고객이 원하는 모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05
2022.12
새소식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한 ‘2022
국제환경규제 대응 엑스포’가 11월 24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진행되었습니다.본 행사를 통해 국내외 환경규제 동향과 대응책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10여개의 컨설팅 수행 전문기관과 약 300여명의
인원이 참가하였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기존의 국내외 주요 환경규제의 최신동향을 주제로
한 전문가의 강연 뿐만 아니라 국제환경규제 대응 우수 기업과 유공자에 대한 정부포상 시상식 등 특별 세션도 마련되었습니다.
안전성평가솔루션 또한 컨설팅 수행 전문기관으로서 현장 부스를
운영하여 다양한 기업체 분들께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방문해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행사 개요ㅇ 주최: 산업통상자원부ㅇ 주관: 한국생산기술연구원ㅇ 일시: 2022년 11월 24일(목), 10:00 ~ 17:00ㅇ 장소: 양재 엘타워 그랜드홀(7F)ㅇ 행사구성: 정부포상, 규제 세미나 및 기업 맞춤형 1:1 컨설팅
14
2023.04
뉴스레터
「2023년 취약시설 특별 안전 현장 맞춤형 교육」 사업장 모집 안내(모집일정: 2023년 4월 5일(수) ~ 모집완료시 마감)
안녕하세요. 안전성평가솔루션㈜입니다.화학물질관리협회에서 취약시설 특별 안전 현장 맞춤형 교육 사업장을 모집하고 있습니다.지원대상은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중소·중견기업(157개 社)이며, 157개 社 초과 시 우선순위에 따라 선정됩니다. (※ 우선순위 선정은 첨부파일의 5.기타사항 참조)「2023년 취약시설 특별 안전 맞춤형 교육」에 지원하고자 하는 업체 담당자분들께서는 하기 공고를 확인하시어 참여 부탁드리며,관련하여 진행을 희망하시거나 관련한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하기 메일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우리 협회는 「2023년 취약시설 특별 안전 현장 맞춤형 교육」사업의 주관기관으로, 「2023년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특별 안전교육」을 다음과 같이 무료 지원하오니,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의 많은 관심 및 참여 바랍니다.
□ 모집 배경ㅇ유해화학물질 취급·관리 및 화학물질관리법 이행에 어려움을 겪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직접 찾아가는 맞춤형 교육 지원을 통해 화학사고 예방 효과 도모 - 이에 화학물질관리협회는 「2023년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특별 안전교육」 실시□ 세부사업명ㅇ2023년 취약시설 특별 안전 현장 맞춤형 교육ㅇ2023년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특별 안전 현장 맞춤형 교육 □ 지원대상 및 모집일정 ㅇ(지원대상) -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중소·중견기업(157개사)※ 우선순위 선정은 첨부파일의 5. 기타사항 참조 ㅇ (모집일정) - 신청기간: '23.4.5(수) ~ 지원대상 모집 완료시 마감 - 지원기간: '23.4.24(월) ~ '23.10.31(화)※ 상황에 따라 지원기간 변동 가(변동 시 신청사업장 대상 별도 안내 예정) □ 신청방법 : 아래의 방법 중 택1 제출 - E-mail 접수(techedu@kcma.or.kr) - Fax 접수(02-587-2204) - 우편 접수(서울특별시 양천구 곰달래로 34, KCMA빌딩 3층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기술교육팀, 우 07925)ㅇ (공고문)모집공고 참조□ 문의처
담당기관
연락처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기술교육팀)
02-3019-6622
※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 참조를 부탁드립니다.
생활화학제품 유통감시 강화로 국민안전확보2022년 하반기 안전 • 표시 기준 위반한 693개 생활화학제품 퇴출출처 : 환경부 보도자료(2023.03.30)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최흥진)은 지난해 하반기(2022년 7월~12월) 동안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약칭 화학제품안전법)'에 따라 2만 1,121개 제품을 조사하고, 관련 법률을 위반한 693개 생활화학제품에 대해 제조 및 수입 금지 등 유통을 차단했다고 밝혔다.이들 위반제품은 △시장 유통 전에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신고·승인 등 절차를 위반한 626개 제품, △신고 당시에는 안전기준에 적합했으나 실제 유통된 제품에서 유해물질 함유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확인된 62개 제품, △신고번호 등의 표시기준을 위반한 5개 제품 등이다. ※ 신고·승인 위반 : 7년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원 이하의 벌금 ※ 안전기준 위반 : 7년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원 이하의 벌금 ※ 표시기준 위반 : 5년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적발된 626개 제품을 품목별로 보면 방향제(228개), 초(155개)가 가장 많았다.특히, 이번에 적발된 방향제 중에는 '가습기용 생활화학제품'으로 불법 판매된 사례(6개 제품)가 있어서 방향제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가습기용 생활화학제품'은 시장 유통 전에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안전성과 효능·효과를 사전 승인받아야 하나, 현재까지 적법하게 승인받은 제품은 전혀 없다.따라서, 방향제로 신고된 제품이라도 '가습기에 사용 가능한 아로마오일', '가습기에 사용 가능하다'는 등으로 표시·광고한 제품은 모두 불법이므로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유해물질 함유기준을 초과해 적발된 제품은 모두 62개로 미용접착제(24개), 문신용염료(24개), 인쇄용 잉크·토너(7개), 제거제(4개), 특수목적코팅제(2개), 광택코팅제(1개) 등이다.이 중 미용접착제 24개 제품에서는 함유금지물질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가 최대 158mg/kg, 문신용염료 13개 제품에서는 함유금지물질인 니켈이 최대 43mg/kg이 검출됐다.문신용염료(1개), 인쇄용 잉크·토너(7개), 제거제(2개) 등 10개 제품은 납이 최대 9.2mg/kg 검출되어 안전기준(1mg/kg)을 초과했다.환경부는 이들 제품이 시중에 유통되지 않도록 행정처분과 함께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운영하는 '위해상품 판매차단시스템'에 등록하고 (사)한국온라인쇼핑협회에도 판매·유통 금지를 요청하고 시행 중이다. ※ 유통차단 흐름도 : 행정처분 공표(환경부) → 위해상품 판매차단시스템 등록(대한상공회의소, 실시간) → 온·오프라인 유통차단(유통업체)아울러, 환경부는 회수명령이나 판매금지 조치 등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재판매·유통되지 않도록 '재유통 모니터링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지속적으로 감시할 예정이다.환경부는 위반사례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확인·신고 등 절차를 이행하지 않고 유통하는 불법제품을 근절하기 위해 선제적인 시장감시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온라인 구매증가 등 소비형태 변화에 발맞춰 온라인 상시 감시 제품 수를 지난해 1만개에서 올해 1만 5천개로 늘리는 등 불법제품 유통을 선제적으로 차단할 방침이다.이와 함께, 온라인유통사와 협업하여 신고·승인번호가 없는 생활화학제품은 온라인 판매창구(플랫폼)에 등록을 원천적으로 할 수 없도록 유통체계를 점검하고 개선을 유도할 예정이다.반복적으로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제품에 대한 감시와 관리도 강화할 예정이다.문신용염료, 미용접착제 등 안전기준을 지속적으로 위반하는 품목의 제조·수입자를 대상으로 주기적인 원료품질검사 요청과 함께 해당 품목에 대한 안전성조사 비중을 확대하는 등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안전기준 위반 시 엄격하게 조치할 예정이다.권병철 환경부 화학제품관리과장은 "생활화학제품을 구매할 때는 신고·승인된 적법한 제품인지를 먼저 확인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면서, "앞으로도 상시 감시와 더불어 관계기관 간 협업 강화 등을 통해 불법 생활화학제품 근절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출처 : 환경부 보도자료(2023.03.30)
본 뉴스레터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주시기 바랍니다.당사의 뉴스레터를 이용해 주시어 감사드립니다.
※ 당사는 제품 개발단계부터 제품의 등록까지 안전성에 관한 고객이 원하는 모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29
2022.07
자료실
환경부는 국민과의 정책적 소통의
중요성을 인식, 널리 알릴 필요가 있는 환경정책을 담은 소책자를
e-book 형태로 제작해 환경부 홈페이지에 소개하고 이를 인쇄물로도 제작해 유관기관, 학교
등에 배포하고 있습니다.
하기 4 권의 소책자가 발간되어 공유 드리오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1. 「탄소중립기본법」 및 관련 고시
2.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3. 배출권거래법령 관련 고시(검인증)
4. 배출권거래법령 관련 고시(할당, 시장)
자세한 내용을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1권) 환경부_탄소중립기본법
및 관련 고시_내지.pdf
(2권) 환경부_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_내지.pdf
(3권) 환경부_배출권거래법령 관련 고시(검·인증)_내지.pdf
(4권) 환경부_배출권거래법령 관련 고시(할당·시장)_내지.pdf
출처: 환경부 > 발행물 > 환경책자(http://www.me.go.kr/home/web/index.do?menuId=10353)
02
2023.06
동향보고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품 해당 여부 확인 방법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자료: (초록누리)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품 해당여부 확인 방법.pdf
출처: 초록누리>알림마당>공지사항
https://ecolife.me.go.kr/ecolife/bbs/notice/show/2950
유관기관